5월 영양소식지는 식중독에 대한 안내입니다.^^
* 식중독이란?
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독소형 질환 (식품위생법 제 2조 제 10호)
-대표적인 식중독균 종류와 특징
1.살모넬라균
? 한국에서 가장 흔한 식중독
? 감염원: 오염된 우유, 달걀, 닭, 육류
? 잠복기: 약 6~48시간
? 증상: 심한 복통과 설사,구토, 발열,오한
2.포도상 구균
? 포도송이처럼 생긴 황색포도상 구균이
만들어내는 장독소에 의한 질환
? 감염원 : 화농성 질환자의 재채기,
손의 상처
? 잠복기: 2~4시간
? 증상: 심한 복통, 경련, 구토, 설사
3.장염 비브리오균
? 어패류를 날로 먹는 식습관 때문에
생기는 질환. 주로 여름철에 발생
(생선, 조개는 꼭 익혀서 먹어야 함.)
? 감염원: 오염된 어패류 또는 교차오염
? 잠복기: 12~24시간
? 증상:복부경련과 물 같은 설사및 열동반
4.병원성 대장균 O-157
?사람의 대장에 감염, 증식해 베로(vero)
독소 라는 강력한 독소를 생산
?감염원: 햄버거, 우유, 요구르트, 치즈,
발효소시지, 상추, 무순(발아채소)
?잠복기: 3~5일
?증상: 설사와 복통, 경련,의식장해
5.캠필로박터(Campylobacter)균
? 적은 양의 균으로도 질병 유발 가능
? 감염원: 오염된 음용수, 가금류,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통해 전염
? 잠복기: 3~5일
? 증상: 설사, 복통, 권태감, 열, 구역 및 구토
* 노로바이러스 식중독
1. 노로바이러스의 특성
장기간 생존 가능(실온 10일, 10℃ 해수에서 1개월, -80℃ 냉동상태에서 수 년 ~ 수십 년 생존)하고 감염력이 강함
개인위생관리 소홀과 사람 간 감염
잠복기: 24 ~ 48시간
주요증상: 설사, 탈수, 복통, 구토, 근육통, 두통, 발열
2.주요 감염 경로
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채소, 과일, 패류(굴 등) 및 지하수 등을 살균·세척 또는 가열조리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할 경우 감염.
노로바이러스 식중독 환자의 분변, 구토물이나 그 건조된 분말을 접촉하거나 호흡기를 통해 흡입할 경우 감염
3.이렇게 예방하세요!
1) 30초 이상 비누나 세정제를 이용해 손가락, 손등까지
깨끗이 씻고 흐르는 물에 헹굼
2) 구토물 발생 시 신속한 제거 및 주변소독 실시
(1000~5000ppm 염소소독)
3) 감염이 의심될 경우 화장실, 변기, 문손잡이 등을 소독
실시
4) 구토·설사 등 증상이 있는 종사자는 식품 조리업무에
즉시 참여 중지
5) 야채, 과일 등 생으로 섭취하는 채소류는 세척·소독
번호 | 제목 | 등록인 | 등록일 | 조회수 | 첨부 |
---|---|---|---|---|---|
124 | 9월 당류 및 나트륨 저감화 지도 | 고은아 | Sep 23, 2019 | 2149 | |
123 | 학부모 및 교직원 연수 | 고은아 | Sep 23, 2019 | 2225 | |
122 | 학교급식식재료 원산지 및 영양표시제(09.02~30) | 고은아 | Sep 4, 2019 | 2221 | |
121 | 9월 영양소식지 및 식단표 | 유지연 | Aug 30, 2019 | 2344 | |
120 | 상반기 학교급식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| 유지연 | Aug 29, 2019 | 2295 | |
119 | 학교급식식재료원산비 및 영양표시(08.14~30) | 유지연 | Aug 26, 2019 | 2147 | |
118 | 8월 영양소식지 및 식단표 | 유지연 | Aug 14, 2019 | 2322 | |
117 | 학교급식식재료원산지 및 영양표시(07.01~19) | 유지연 | Jul 8, 2019 | 2083 | |
116 | 7월 영양소식지 및 식단표 | 유지연 | Jul 1, 2019 | 2092 | |
115 | 학교급식식재료 원산지 및 영양표시(06.01~28) | 유지연 | Jun 3, 2019 | 2075 |